엑셀 필터 후 번호매기기 - subtotal contra 기능 사용법

엑셀 필터후 번호매기기 - subtotal contra 기능 사용법

 

 

etc-image-0

 

 

엑셀을 실무에서 많이들 사용하시는데요, 특히나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분 중 하나가

바로 필터링 기능입니다.

여러가지 다양한 분류로 나뉘어진 값들을 갖고 분류대로 정렬을 하기도 하고,

합, 곱 등의 수식을 하는 등 여러 부분에서 활용을 할 수 있기 떄문에

이 쪽 기능은 빠삭하게 알고 계신것이 몸 건강에 이롭습니다.

아는 만큼 쌩 노가다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죠 ㅎㅎ

 

오늘 소개할 엑셀 필터 후 번호매기기 기능인 subtotal contra 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!

 

 

 

 

 

* 예시

 

1. 필터 설정 방법

 

먼저 아래와 같이 학교, 직장 등의 분류로 나누어진 인명부가 있다고 예를 들면,

데이터의 구분을 위해 학교별, 직장별 자신이 필요로 되는 필터로 데이터를 갖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.

 

etc-image-1

 

 

필터를 할 분류 부분에 커서를 두시고 (넘버링, 이름, 학교, 직장)

엑셀 상단 메뉴 - 데이터 - 필터 버튼을 클릭 하게 되면,

아래 그림과 같이 각 분류 옆에 화살표가 표시가 되며 필터 기능이 생성되게 됩니다.

 

 

etc-image-2

 

 

필터 생성 방법은 어렵지 않죠 ? ^^ 아주 간단합니다.

원하는 분류에서 필터 버튼 클릭 !! 끝 !!

 

 

 2. 필터를 활용한 정렬

 

자 그럼 학교 옆에 화살표를 눌러보았더니, 필터할 구분들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우리가 필요로 되는 데이터는 "고려대" 라는 학교 출신의 사람을 보고 싶다라고 한다면,

고려대에만 체크하고 나머지는 빼주면 되겠죠 !!

etc-image-3

 

 

 

 

 

<고려대 만 필터링 한 경우>

 

헌데 문제는 여기서 생기게 됩니다.

넘버링에 보면 숫자가, 초기 정렬되어 있던 숫자가 쫒아오게 된다는 것이죠.

뽑은 명단이 몇개 안되면 상관은 없지만,

만약 몇백개 혹은 몇 천개라고 한다면 ??? 이는 아주 불편하기 짝이 없습니다.

총인원이나 합이나 이런 부분을 계산할수가 없기 때문이죠.

 

etc-image-4

 

 

 

3. 이 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 바로 subtotal contra 기능입니다.

 

일단은 전체 인원수가 나오도록 특정 필더에 체크하지 말고 전부를 체크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초기 화면을 띄웁니다.

 

etc-image-5

 

 

이상태에서 넘버링 아래 숫자 1이 써져 있는 부분에 아래와 같이 타이핑합니다.

 

=subtotal(3,$B$3:B3)

 

절대값 주소인 $을 잘 맞추어서 타이핑을 해주어야만 자동완성 시 정상적으로 숫자가 증가하게 됩니다.

1부분을 위와같이 고쳤으면 드래그해서 아래쪽 번호들도 쭉 ~ 자동완성으로 넣어주시면 됩니다.

 

넘버링 2 부분은 아래와 같이 =subtotal(3,$C$3:C4) 가 되고,

넘버링 3 부분은 아래와 같이 =subtotal(3,$C$3:C5) 가 됩니다.

 

etc-image-6

etc-image-7

 

 

=subtotal(3,$B$3:B3)에서 첫번째 3이라는 숫자는 conta 기능을 뜻하며, 다른 번호를 넣게 되면

아래 보이는 함수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.

 

1- 평균, 2- 전체 카운드, 4,5 - 최대/최소 9- 합

 

etc-image-8

 

 

 

자, 설정이 다 되었다면, 아까와 같이 필터링 하고 체크해 볼까요 ?

아래와 같이 선택 부분에 자동으로 숫자가 증가되어 카운트가 되시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^^

 

 

etc-image-9

 

 

어려워보이지만, 아주 간단하기 때문에 잘 익혀두셨다가

실무에서 여러모로 활용해 보시면 좋겠네요^^